통합검색
닫기

로고

닫기

로고


문화로 하나 된 세상. 예술로 꽃 피는 완주.

WANJU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인물DB

Copyright ⓒ. 2022. 완주문화재단. All Rights Reserved. 이미지의 도용 및 무단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박지은
  • " 잔잔한 평온함으로 애잔한 감성을 전하는 옻칠화 화가 "
  • 분야
  • 시각예술
  • 세부분야
  • 회화
  • 활동지역
  • 완주군 소양
  • 연락처
  • 이메일
  • 기타
예술인 소개

 

잔잔한 평온함으로 애잔한 감성을 전하는 옻칠화 화가, 박지은

 

 

 


 

 

그저 그림이 좋아서

안녕하세요. 옻칠을 활용한 한국화를 그리는 박지은입니다. 저는 화폭에 텅에에 대해 말하고 표현하려고 노력해오고 있습니다. 옻칠이라는 재료적인 특징도 독창적이지만 공간과 여유를 느끼고 엄마 품 속을 그림에 담고자 했습니다. '텅에'라는 말은 '둥우리', '둥지' 라는 방언으로 어머니의 품을 비유하여 보금자리의 의미로 쓰이는 말이예요. 한국화를 그리게 된 이유나 매력은 여백의 미에서 나오는 그 공간의 깊이가 좋았고, 제가 표현하려고 하는 느낌들이 동양화로 잘 구현되기 때문이었어요. 그저 그림이 좋아서 꾸준히 그리며 대학원을 졸업하면서 자연스럽게 전시회를 열게 되었고 물이 흘러가듯 삶을 수용하면서 오직 그리는 것만이 천직이라고 알고 그림을 그려온 거 같아요. 현재는 조각가인 남편과 함께 완주 송광사 산자락에 터를 집고 집을 짓고 작업을 하며 어엿쁜 딸 아이와 살고있는데요. 가족이 있기에 외롭고 고독한 전업작가의 길을 쉼 없이 그려 나갈 수 있는 힘이 생기는 것 같아요. 앞으로도 가족 그리고 그림과 함께 살아가고 싶은 마음입니다. 그리고 지금 준비 중인 텅에-보금자리를 앞으로도 계속 더 연구하고 표현할 계획이예요.

 

 

작품 몰입의 힘이 된 슬럼프

슬럼프는 언제였을까요?’라는 질문을 받곤 잠시 생각에 잠겼어요. 곰곰이 생각해 보면 매번 전시를 마무리 지을 때마다였던 거 같아요. 전시회를 마무리하면서 오는 공허함과 평가에 대한 시선을 마주하면 슬럼프가 오더라고요. 하나의 전시를 마무리하면서 다음 전시를 바로 준비하는데 많은 생각이 겹치면서 오는 거 같아요. 그래서 그런 순간이 느껴질 때마다 오히려 더 작품 활동에 몰입하면서 다음 작업을 이어 나가는 것으로 극복해 나갔던 거 같아요. 스스로의 한계를 도전하면서 끊임없이 작품 활동에 집중하다 보면 슬럼프라는 것도 잊어버리게 돼서 오히려 도움이 되었습니다.

 


 

 

아이에게 자랑스러운 엄마

작품활동을 해오면서 가장 행복했을 때는 모든 예술가들의 대답이 같을 거 같아요. 전에 전주에서 기획을 하였을 때 관람객들과 대화와 소통의 시간이 있었어요. 제 작품에 애정을 갖고 소장하실 때 그리고 대중들이 소통하면서 꾸준히 작품을 좋아해 주시는 것을 느끼는 순간 행복한 거 같아요. 무엇보다 가장 행복했을 때는 우리 딸이 엄마를 자랑스러워하고 그림을 그리는 엄마를 공감해줄 때 인 거 같아요. 사실 작업을 할 때는 잘 놀아주지 못하는데도 이해해주고 자랑스러워해주는 것이 정말 미안하고 고마워요.

 

 

시간을 들이는 것은 마음을 담는 것

저에게 있어 작품에 시간을 들이는 것은 인내와 작업에 대한 깊은 진정성이기에 계획한 작업들이 시간에 쫒기어 마무리 되었을 때가 가장 힘든 순간인 거 같아요. 이건 다음 작업의 계획성을 다듬는 중요한 마음이기도 하고, 시간과의 싸움은 나를 더 집중하게 만들기도 하거든요. 그래서 만약에 가장 애정하는 작품을 꼽으라고 한다면 어느 하나를 고를 수가 없어요. 모든 작업 하나 하나에 애정이 있고, 한 터치마다 마음이 깃들어 있거든요.

 

 

 

 

스스로의 한계를 넘어선 순간

모두들 한 번쯤은 경험하는 순간일텐데요. 작업을 계속 하다보면 그림이 마음처럼 잘 그려지지 않아서 힘든 작품을 만나게 되죠. 사실 멈추고 다른 작품을 시작하고 싶은 욕망이 생겨나지만 그 작품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몰입해 그리다보니 종내는 만족하는 작품이 나오게 되었어요. 그 때 그 순간, 스스로의 한계를 깨고 한 단계 넘어서는 느낌을 받았어요. 그 때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어떤 뭉클한 희열감이 느껴졌어요. 그 작품이 전시에서도 호평과 함께 좋은 피드백을 많이 받게 되었고 참 기뻤죠.

 

 

 

화폭 안에서 떠올리는 영감

새 하얀 화폭을 멍하니 보고 있으면 영감이 떠오를 때가 있어요. 그 동안 제가 삶에서 보고 듣고 느낀 것들의 총합일테죠. 그렇게 천천히 작품에 몰입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그림이 되는 것 같아요. 다양한 주제 중에 항상 표현하고자 하는 것은 편안한 안식처입니다. 그림을 보는 것만으로도 편하고 쉬고 싶은 생각이 들 수 있게요. 그것이 부드러운 하얀색이기에 오는 편안함이 아니라 새빨간 붉은 색에서도 편안함을 주는 그림을 만나 보다 보면 색보다 마음으로 다가오는 것, 그것이 그림으로 전달되어지는 게 아닐까 싶어요.

 

 


 

 

완주에서 예술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제가 태어난 곳은 아니지만 완주의 자연이 좋고, 제가 엄마가 된 곳이기도해서 그 의미가 깊어요. 이곳에서 예술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완주의 자연처럼 엄마같은 곳이 되어가는 것 같아요.

 

 

 

그림은 곧 자신

박지은의 그림은 박지은이다.” 담백하게 결국 그림은 곧 저 자신인 거 같아요.

 

 



 

 

황세화화가가 박지은화가에게 보내는 글

국화꽃 향기가 나는 가을의 햇살을 닮은 박지은 작가

보금자리의 의미 텅에를 주제로 하는 한국적 정서를 옻칠기법을 통해 서정적인 감성을 가져다주며 안락함을 느끼게하는 화가 박지은

 

주요 활동
• 개인전 : 총 17회 2020. 제 15회 박지은 옻칠화개인전(한국소리문화의전당 기획초대개인전 1층 전시실 전관) 2019. 제 14회 박지은 옻칠화 개인전 (인사아트센터 전북도립미술관 서울관) 2002~2022 개인전: 하랑갤러리, 교동미술관, 나우리갤러리, 동덕아트갤러리, 세종갤러리, 빛갤러리, 이랜드스페이스. 아카갤러리, 칼리파갤러리, 우진문화공간, 자하갤러리, 
• 2인전: 총 7회 • 아트페어 및 군집개인전: 90여회 KIAF/화랑미술제/서울오픈아트페어/독일 칼수르헤/한국현대미술제 홍콩아트페어/ Cicago Art Fair / scope New York / L.A art show/ BERLINERLISTE-독일 베를린/부산아트페어/어포더블아트페어DDP/ KunStart 이탈리아/리스본 아트페어-포르투칼/밀라노 아트페어/ 상해아트페어/중국청년아트페어/뉴욕아트엑스포, etc.. 
• 단체전: 2001~2019. 280여회 상해예술예품박물관, AE갤러리 개관전, 광주롯데호텔갤러리, 가인갤러리 기획전, ADAMAS253갤러리 기획전. 63스카이아트갤러리-'시간의 깊이를 담다'전, 고려대학교 역사문화관, 소리없는 울림전(한국국회의사당회관, 일본주일한국대사관) 330인전(선화랑), 전북현대미술제(전북전주 한국소리문화의 전당), 주일한국대사관 초대 etc.
필진 정보
 대표 이미지
황세하
10년동안 블로그를 통해 미술치료수업을 기록화해오면서 아이들과 노인들의 미술을 기록화하고 자연미술을 통한 마음치료 미술을 해왔습니다.
자연과 사람과 소통을 통한 일러스트를 그려왔으며 스토리텔링을 통해 함께하는 따듯한마음을 이야기하는 화가로 활동해가고 있습니다.
추천 이유
완주문화재단의 추천을 통해 인터뷰 진행
관련키워드
  • 박지은
  • 화가
  • 회화

(우)55352 전북 완주군 용진읍 완주로 462-9 완주문화재단

TEL : 063-262-3955FAX : 063-262-3956 mail@wfac.or.kr

페이지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