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로 하나 된 세상. 예술로 꽃 피는 완주.
WANJU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2021 완주문화원탁회의'에서는 완주군 관내 문화예술기관·시설이 함께하는 '완주문화예술기관시설 원탁회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난 3월에 진행된 '2021 완주문화예술 비대면 사업 이해 워크숍' 이후 2회의 기획회의를 가진 '완주문화예술기관시설 원탁회의'에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비대면 사업 수요 증가에 따라 온라인 문화예술지도를 만들었는데요. 각 기관, 시설별로 운영하는 문화예술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SNS 채널을 한 곳에 모았습니다! 무더운 여름, 일상 가까이에서 문화예술을..
지난 4월에 시작된 지역문화기획자·활동가 릴레이 인터뷰가 7월 셋째 주 연재를 마지막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지역문화기획자·활동가 원탁회의에 참여한 17명의 문화기획자, 활동가들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함께 모이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 릴레이 인터뷰를 통해 서로를 만나며 안부를 전했는데요. 릴레이 인터뷰에는 문화기획자, 활동가들의 활동뿐만 아니라 삶과 가치관, 앞으로의 고민까지 담겨있었습니다. 릴레이 인터뷰를 통해 만난 참여자들은 완주뿐만 아니라 순창, 세종, 서울 등 지역을 넘나들고, 문화기획부터 문화예술교육, 사회적 기업까지 다..
지난 6월 8일 '장애인문화예술원탁회의'의 첫 시작으로 '장애인문화예술정책세미나'가 진행되었습니다. 장애인 당사자이자 연극배우로 활동하고 있는 김원영 변호사의 특강과 자유 토론을 통해 수혜의 대상이 아닌 창작의 주체로 장애인을 바라보고, 장애인 문화예술정책을 고민해 보는 자리가 되었는데요. 앞으로 장애인문화예술원탁회의에서는 장애인 당사자의 목소리를 모으고, 지역 내에서 장애예술인들이 활동할 수 있는 기반 마련 방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예정입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하단 링크의 기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장애인문화예술원탁회..
완주 예술인 네트워크 “예술가가 노는 법” 장마가 시작될 무렵, 6월의 마지막 밤 저녁에 용진의 완산가는 특별한 밤으로 후끈한 열기가 가득했습니다. 진지한 이야기가 흐르는 듯 하다가 때때로 박수소리와 웃음소리가 처마 밑에 넘실거리던 이 곳엔 “예술가가 노는 법”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예술인 간 네트워크의 장이 열렸습니다. ‘예술인창작지원사업“의‘김경옥, 박창은, 서수인, 여은희, 최용선’ 작가와 완주 한 달 살기의‘김명지, 이부성, 김순협, 박서우, 이지윤, 한지민’작가의 작품..
안전하고 평등한 문화예술활동을 만들어가기 위한 첫 걸음! 지난 6월 부터 전북권 5개 문화재단과 전북대학교 부설 여성연구소, 전북여성문화예술인연대, 지식공동체 지지배배가 함께하는 '성평등예술비평학교 문화예술다리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지역에서 같은 고민을 가진 참여자들이 모여 여성주의 관점에서 문화예술을 생각해 보는 '문화예술다리미'의 현장에 여러분들을 초대합니다~ 첫 시작; 지역_내_예술비평의 힘 ▶ https://blog.naver.com/wfac3955/222392220641 성평등예술비평학교 ▶ https://www.wfac.or.kr/2021/inner.php?sMenu=A4000.....
2021 성평등 예술비평학교 문화예술다리미가 지난 6월 3일부터 24일까지 총4회차가 진행되었습니다. 8월 12일까지 매주 목요일마다 진행되는 문화예술다리미에는 현재 19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을 통해서참여자마다 1편씩의 비평문을 작성하게 됩니다. 1회차는 여성주의 예술비평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강사: 김은혜 지식공동체 지지배배) 2회차에서는 극장, 사건, 연기, 관객이라는 요소를 가지고여성주의 시각에서 연극을 다시 보았습니다. (강사: 김민조 연극평론가) 3회차에서는 9편의 시를 여성주의에서 다시 보..
문화이장은 문화예술통신사로 문화반상회를 운영하며 주민들의 문화적 수요를 모으고 군과 재단의 문화정책을 알리는 문화소통창구로서 활동 해왔고, 작년에는 자기주도 프로젝트를 직접 기획·운영하여 주민들과 함께 문화의제를 발굴하고 해결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문화이장 5기는 1년차에 생활문화 기획 역량 강화 위크숍을 통해 문화이장으로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고, 2년차에 문화반상회를 운영하여 주민들의 의견을 토대로 지역에 필요한 문화 의제를 발굴하고, 3년차에 자기주도 프로젝트를 통해 발굴된 문화의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맡아 ..
TEL : 063-262-3955FAX : 063-262-3956 mail@wfa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