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로 하나 된 세상. 예술로 꽃 피는 완주.
WANJU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2022년 문화이장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1차 공유테이블을 문화이장 4기, 5기와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코로나로 인하여 현장에서 만나뵙지 못했던 문화이장님들과의 만남이 더욱 기대가 되었습니다. 먼저 4기, 5기 문화이장님들의 서로의 안부를 묻는 따뜻한 시간과 그동안의 근황과 활동 내용을 공유하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문화이장 자체가 행복이라는 이춘희 문화이장님, ‘잘’이라는 글자를 빼고 내 삶을 살다보면 문화가 될 것이고 만나는 과정에서이것저것 시도를 해보고 싶다는 허진숙 문화이장님, 5~6년의 공예 활동을 재정비해보고 싶다고 하신 고은경 문..
지난 2022년 6월 15일 오후 3시, 전주 팔복예술공장 다목적실에서 ‘새정부 문화분야 국정과제와 대응전략 1차 정책간담회(이하, 정책간담회)’가 열렸습니다. 이번 정책간담회는 지난 5월 출범한 새정부의 문화분야 세부과제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전북권 문화재단의 공동대응 전략 및 지자체별 특성화 전략을 고민해보는 시간이었는데요. 전북권 6개 문화재단(고창문화관광재단, 부안군문화재단, 완주문화재단, 익산문화관광재단,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전주문화재단) 관계자 및 문화정책 전문가가 참여하여 변화하는 문화정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
매달 첫주 수요일에 진행되는 재단 직원 역량강화 사업인이슈브리핑을 진행하였습니다. 6월에는 을 주제로 완주군장애인복지재단 박미애강사님께서재단을 방문해서 직접 교육을 해주셨어요. 강의 진행에 앞서 직원들은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시작을 하였습니다. 강의는1시간가량 진행되었는데요,재단 직원들의 장애감수성을 키우기 위한대한 다양한 동영상과,장애공감문화를 조성하기위한 사례를 통해 그간 우리가 당연하게알고 있는 내용을 다시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재단 전 직원들은 장애인· 비장애인의떠나 사회구성원으로의 관점..
(재)완주문화재단은 2017년부터 5년 간 진행해온 ‘완주 한 달 살기’레지던시 프로젝트의 결과가 국내외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 중 이정의 작가의‘Children’s Portrait’이 네덜란드 로테르담 포토페어에 초대되어 현재 전시 중이며, 동상아이들과 함께 한 김리경작가의 ‘주사위놀이’책이 5월에 출간되었다. 이정의 작가의 로테르담 전시 사진 이정의 작가는 지난해 9 ~ 11월까지 고산지역경제순환센터(이하 ‘센터’)에서 ‘완주한달살기’ 레지던시 프로젝트에 참여해 공동육아나..
2021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완주문화원탁회의는 완주군 문화예술 관련 주제별(문화예술기관시설, 문화기획자활동가, 성평등, 장애인 문화예술 등) 원탁회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중 문화예술기관시설 원탁회의는 완주군 관내 문화예술기관시설 관계자들이 모여 완주군 문화예술활동 활성화와 지역 주민을 위한 문화예술활동 지원에 관한 고민을 나누는 자리입니다.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비대면 사업 운영 논의를 진행했던 문화예술기관시설 원탁회의에서는 2022년 위드코로나 정책에 맞춰 완주군민이 11개 문화예술기관시설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문화예술..
“더 나은 완주를 만드는 예술”은 예술인의 눈으로 내가 사는 지역에 관심을 갖고, 내가 생각하는 지역에 대한 고민이나 문제 등을 문화예술을 통해 변화하고 풀어나가는 다양하고 실험적인 예술 활돌동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21년 진행된 14개의 예술로 더 나은 완주를 만들고자 했던 프로젝트들을 하나씩 소개합니다. 그 일곱 번째는 ‘화훼농가’에서 진행된 ‘꽃 : 록 (Floralog Ⅱ)’프로젝트입니다. 꽃 : 록 (Floralog Ⅱ) 박선영 박선영, 박종호, 장윤미 “꽃은 비대면이 일상화되고 개인화가 ..
지난 2022년 5월 30일 오후 2시, 31일 오전 10시. 총 2회에 걸쳐 지역에서 활동하는 문화기획자‧활동가들이 복합문화지구 누에 커뮤니티실에 모였습니다. 2022 완주문화원탁회의 중 ‘문화기획자‧활동가 원탁회의’의 첫 네트워크 모임이었습니다. 2021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완주문화원탁회의는 완주군 문화예술 관련 주제별(문화예술기관시설, 문화기획자활동가, 장애인문화예술, 성평등 등) 원탁회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중 문화기획자‧활동가 원탁회의는 완주군에서 활동하는 문화기획자‧활동가들과 완주문화재단에서 운영한 지역문화전문인력양성과정의 수..
“더 나은 완주를 만드는 예술”은 예술인의 눈으로 내가 사는 지역에 관심을 갖고, 내가 생각하는 지역에 대한 고민이나 문제 등을 문화예술을 통해 변화하고 풀어나가는 다양하고 실험적인 예술 활돌동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21년 진행된 14개의 예술로 더 나은 완주를 만들고자 했던 프로젝트들을 하나씩 소개합니다. 그 여섯 번째는 봉동읍에 위치한 ‘봉동 생강골 시장’에서 진행된 ‘프로젝트 이름 in 완주’프로젝트입니다. 프로젝트 이름 in 완주 아트커뮤니케이션 완산가 윤대라, 박종갑, 하채현 ..
안녕, 올해의 선정작가를 소개합니다!_2(준비지원, 청년문화예술활동지원사업) 지난 5월 13일 오리엔테이션 완주 예술인의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은 창작주기에 맞춰 단계별 지원구조로 [준비-결과-다시]지원과 [청년문화예술활동] 지원이 있습니다. 지난 5월 13일 진행된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프로젝트가 시작합니다. 창작 준비과정을 지원하는 [준비지원]과 완주의 청년예술인의 활동을 지원하는 [청년문화예술활동] 지원의 선정작가와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먼저 [준비지원]을 살펴볼까요? 조화영 『th..
직원들의 관심있는 주제와 내부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을 진행하는 2022 이슈브리핑이 올해에도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지난5월4일에 진행된 이슈브리핑은 을 주제로 재단 임직원들이 꼭 알고 있어야할 내용을 위주로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남희승팀장이 화상으로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예술인 고용보험을 통해 지역예술인들의 안정적인 삶이 지원되고, 예술 창작 활동의 기반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그리고 예술인고용보험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아래의 링크를 공유합니다.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예술인고용보험(02-3668-0255) kawf.kr/html/aMenu/art..
TEL : 063-262-3955FAX : 063-262-3956 mail@wfa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