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로 하나 된 세상. 예술로 꽃 피는 완주.
WANJU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창작안전망 구축 2021청년예술인지원사업참여예술인 모집 완주문화재단에서는 청년예술인들에게 지원사업 유입장벽을 낮춰 예술인창작지원사업으로 진입할 수 있는 연결고리를 마련하기 위해 청년예술인지원사업을 진행합니다. 3월25일까지‘2021청년예술인지원사업’에 참여할 예술인을공개 모집하며 지원대상과 자격은 만39세 이하 완주 청년 예술인 및 단체로, 공고일 기준 1년 이상 완주군에 주소지(거주공간, 작업실, 사업장)를 두면 됩니다. 지원예산은 1팀(명)당 2,000천원씩 5팀(명)을 선정하며, 행정서류 간소화로 창작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환..
완주문화재단에서는 지난 3월 10일, 11일 이틀에 걸쳐 2021예술인창작지원사업에 선정된 예술인들을 대상으로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문화예술분야성폭력예방교육전문강사추천 및 매칭 지원사업인‘찾아가는예술인을 위한 성평등 교육’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찾아가는 예술인을 위한 성평등 교육’은 10인 이상 단체 신청시운영가능하며,문화예술분야별맞춤형 특강을 지원합니다. 한국예술인복지재단성수현강사의 진행으로이루어진 이번 교육에서는문화예술계 안에서의 ..
따뜻한 햇살이 기분 좋은 주말, 산책하기 좋은 복합문화지구 누에의 ‘우리 동네 미술’ 작품들을 소개합니다. 가장 먼저 소개할 작품은 복합문화지구 누에 입구에 위치한 인데요. ‘만듦’ 팀(대표작가 : 박광현)의 작품으로 고치를 틀고 긴 잠을 자는 누에의 꿈을 상상한 조형물입니다. 금속 선재로 만든 6미터의 거대한 타원형 고치 안으로 들어서면 금속 선재 틈 사이로 스며드는 빛이 아늑하게 느껴지는데요. 고치 내부와 외부에 관람자가 앉아서 쉴 수 있는 아트벤치와 해먹이 있어 봄날의 햇살을 만끽하기에 안성맞춤입니다. 팝업스페이..
[완주예술사발굴·기록화]사업의 일환으로 2019년부터 진행된 완주를 연고로 하는 작고 예술인의 삶과 예술세계를 재조명하고 다각적인 조사·체계적인 정리·기록을 통해 지역문화 예술사를 정립한 결과물인 『완주예인 기억과 기록 사이』가 발간되었습니다. 전통적 판소리 창법에 호방한 ‘덜렁제’를 개발한 조선 최고의 명창 권삼득과 조선 후기 3대 명필로 칭송받은 창암 이삼만을 비롯해 거문고 명인 강동일, 정가 명인 임산본, 천상 고수 주봉신, 한지장 류행영, 소목장 조석진, 화백 권영술과 황소연, 석전 박한영, 작가 이정환, 시인 유진..
지난 10~11월, 완주문화다양성발굴단 소수다에서 발굴한 차별, 편견 사례를 바탕으로 문화다양성 콘텐츠 '소수다툰 (小수다Toon)'을 제작하였는데요. 두번째 소수다툰, 을 소개합니다. 글.그림에는 최섬작가님과 사례제공에는 자몽님, 문화다양성 길잡이에는 옥수수님과 자문에는 아시아인권문화연대이완대표님이함께해주셨습니다. 문화다양성을 찾아가는 주민들의 모임 '완주문화다양성발굴단 소수다(少守多)'는 2018년부터 활동을 시작했는데요. 일상 속 차별이나 편견 사례들을 공유하고 지역사회 안에서 다양한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아..
지난 10~11월, 완주문화다양성발굴단 소수다에서 발굴한 차별, 편견 사례를 바탕으로문화다양성 콘텐츠 '소수다툰(小수다Toon)'을제작하였습니다. 첫번째 소수다툰, 을 소개합니다. 글.그림에는 최섬작가님과 사례제공에는 은경하하님, 문화다양성 길잡이에는 옥수수님과 자문에는 아시아인권문화연대이완대표님이함께해주셨습니다. 문화다양성을 찾아가는 주민들의 모임 '완주문화다양성발굴단 소수다(少守多)'는 2018년부터 활동을 시작했는데요. 일상 속 차별이나 편견 사례들을 공유하고 지역사회 안에서 다양한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찾..
[2020 완주문화협치실행단 주민정책연구단 카드뉴스 연재④] "지역청년, 오늘 저녁엔 뭐하지?" 완주문화재단에서는 완주군민이 중심이 되어 완주의 문화예술정책을 제안하는 '2020 완주문화협치실행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완주문화협치실행단의 주민정책연구단은 올 한해 정책 프로젝트를 기획·운영하고, 이를 정리한 연구결과보고서를 작성했는데요. 오늘은 주민정책연구단 황석현님의 연구결과를 담은 카드뉴스를 공유합니다. 앞으로도 계속될 주민정책 연구단의 활동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사업명 : 2020 완주문화협치실..
[2020 완주문화협치실행단 주민정책연구단 카드뉴스 연재③] "환경문제, 나만의 고민인가?" 완주문화재단에서는 완주군민이 중심이 되어 완주의 문화예술정책을 제안하는 '2020 완주문화협치실행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완주문화협치실행단의 주민정책연구단은 올 한해 정책 프로젝트를 기획·운영하고, 이를 정리한 연구결과보고서를 작성했는데요. 오늘은 주민정책연구단 조아라님의 연구 결과 카드뉴스를 공유합니다! ■ 사업명 : 2020 완주문화협치실행단 ■ 연구주제 : 일회용 봉투 없는 농산물 구입 권장 프로젝트 - REDUCE WAST..
[2020 완주문화협치실행단 주민정책연구단 카드뉴스 연재②] "지역자산화는 왜 필요할까요?" 완주문화재단에서는 완주군민이 중심이 되어 완주의 문화예술정책을 제안하는 '2020 완주문화협치실행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완주문화협치실행단의 주민정책연구단은 올 한해 정책 프로젝트를 기획·운영하고, 이를 정리한 연구결과보고서를 작성했는데요. 주민정책연구단 박대선님의 연구 결과 카드뉴스를 공유합니다! ■ 사업명 : 2020 완주문화협치실행단 ■ 연구주제 : 공동체영화관으로써의 자산화 실험 ■ 연구자 : 주민정책연구원 박..
[2020 완주문화협치실행단 주민정책연구단 카드뉴스 ①] " '이웃소리' 동영상 채널을 개설해 보는 건 어떨까?" 완주문화재단에서는 완주군민이 중심이 되어 완주의 문화예술정책을 제안하는 '2020 완주문화협치실행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완주문화협치실행단의 주민정책연구단은 올 한해 정책 프로젝트를 기획·운영하고, 이를 정리한 연구결과보고서를 작성했는데요. 첫번째로 주민정책연구단 김연주님의 결과를 공유합니다~ ■ 사업명 : 2020 완주문화협치실행단 ■ 연구주제 : 마을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TEL : 063-262-3955FAX : 063-262-3956 mail@wfac.or.kr